728x90

==============================

 

지난 2022.07.30.에 연구실안전관리사 1차시험에 응시 했었습니다.

공부를 전혀하지 않고 한번 응시해봤는데 결과는 2과목 과락...ㅠㅠ

생소한 분야도 있었어서 합격을 기대하는 것 자체가 무리였긴 했는데, 경험삼아 한번 응시해봤습니다.

150(140문제) 동안 자리에 앉아 있는게 더 힘든 상황이었던것 같습니다. 물론 전체 시간을 앉아 있었던것도 아니고 절반의 시간이 지나면 퇴실이 되기에 나왔지만 140문제를 계속 풀면서 집중력을 발휘하기란 쉬운 상황은 아니었던것 같습니다. 시험 중반부 이후 급격한 집중력 감소.... 문제를 읽기도 싫은 지경이 되더군요..

 

문제공개는 원칙적으로 금지되어있음을 공지받았습니다. 산업인력공단 기사 시험도 마찬가지 상황이긴 하지만, 시험 초기이고 해서 완전공개는 안하는게 맞다고 판단해서 몇 문제만 공개해 보고자 합니다. 시험종료 후 문제지가 공개되기때문에  이정도는 괜찮지 않을까하는 생각입니다.

(혹시 관계자분들의 의견이 있을경우 즉시 삭제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개별적으로 문제지 몰래 공유해달라고 요청하지 말아주세요...좀 난처합니다..

 

==============================

 

2022년 제1회 연구실안전관리사 제1차 시험(필기)

 

제1과목 연구실 안전관련 법령

 

1.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따른 연구실안전관리위원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위원장 1명을 포함한 1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위원회의 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호선한다.

위원회의 위원장은 연구활동종사자에게 위원회에서 의결된 내용 등 회의 결과ᅟᅳᆯ 게시 또는 그 밖의 적절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알려야 한다.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위원회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위원장이 정한다.

 

사전에 제공된 학습가이드에 관련 항목이 명확하게 명기되진 않았지만 관련법이 명기되어 있음.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시행 2022. 7. 1.]

제5조(연구실안전관리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① 법 제11조제1항에 따른 연구실안전관리위원회(이하 이 조에서 “위원회”라 한다)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한 15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

 

제2과목 연구실 안전관리이론 및 체계

 

21. 호킨스(Hawkins)가 제안한 SHELL 모델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하드웨어(Hardware) : 의도하는 결과를 얻기위한 무형적인 요소를 말한다. 특히 화학, 생물학, 의학 분야에서 시스템 내의 작업지시, 정보교환 등과 관계도니다.

소프트웨어(Software) : 기계, 설비, 장치, 도구 등 유형적인 요소를 말한다. 특히 기계, 전기 분야에서는 연구 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환경(Environment) :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얻기 위한 무형적인 요소를 말한다. 특히 공학 분야에서 시스템 내의 작업지시, 정보교환 등과 관계된다.

인간(Liveware) : 연구활동종사자 본인은 물론, 소속된 집단의 주변 구성원들의 인전요인, 나아가 인간관계 등 상호작용까지도 포함된다.

 

 

제공되는 학습가이드에 관련 항목 명확히 명기됨

SHELL 모델
① Hardware : 기계, 설비, 장치, 도구 등 유형적인 요소를 말한다.
② Software :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는 물론, 시스템 내의 작업지시, 정보교환 등 구성 요소 간 영향을 주고받는 모든 무형적인 요소들을 말한다.
③ Environment : 의도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환경적 요소들을 말한다. 특히 화학이나 생물학, 의학 분야에서는 어떤 상황에 놓이느냐에 따라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기도 하고 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으므로 중요한 요소이다.
Liveware : 연구활동종사자 본인은 물론, 소속된 집단의 주변 구성원들의 인적 요인, 나아가 인간관계를 포함하는 상호작용까지도 포함된다.

 

 

==============================

 
 

제3과목 연구실 화학․가스 안전관리

 

41. (     )안에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       )/는 액화가스의 형태로 저장하며, 가연성, 독성 및 부식성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다.

아르곤

암모니아

염소

수소

 

제공되는 학습가이드에 문제와 동일한 문장은 존재하지 않으며, 각 성질에 대한 물질을 설명하면서 암모니아가 포함되어 제시됨.

 

==============================

 

제4과목 연구실 기계‧물리 안전관리

 

61. 기기를 이용한 실험 중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 복구 단계에서 해당 연구실(연구실책임자, 연구활동종사자)과 안전담당 부서(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가 공통으로 조치해야 하는 사항으로 옳은 것은?

사고 원인 조사를 위한 현장은 보존하되 2차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한는 범위 내에서 사고 현장 주변 정리 정돈

피해복구 및 재발 방지 대책 마련시행

부상자 가족에게 사고 내용 전달 및 대응

사고 기계에 대한 결함 여부 조사 및 안전 조치

 

제공되는 학습가이드에는 명확한 상황이 작성되어 있지 않음. 참조로 되어 있는 국가연구안전정보시스템(www.labs.go.kr/)에 해당 비상대응 매뉴얼 참조.

==============================

 

제5과목 연구실 생물 안전관리

 

81.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통합고시에 따른 생물안전관리책임자가 기관장을 보좌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① 기관 내 생물안전 교육훈련 이행에 관한 사항

❷ 고위험병원체 전담관리자 지정에 관한 사항

실험실 생물안전 사고 조사 및 보고에 관한 사항

④ 생물안전에 관한 국내외 정보수집 및 제공에 관한 사항

 

제공되는 학습가이드에 관련 항목 명확히 명기됨

생물안전관리책임자의 역할

∙기관생물안전관리책임자 - 기관생물안전관리책임자는 기관장의 임명을 받아 기관 내 생물안전관리를 위해 다음 사항에 대하여 기관장을 보좌한다.

① 생물안전관리규정의 제 ․ 개정에 관한 사항

② 기관 내 생물안전 준수사항 이행 감독에 관한 사항

기관 내 생물안전 교육 ․ 훈련 이행에 관한 사항

연구실 생물안전 사고 조사 및 보고에 관한 사항

생물안전에 관한 국내 ․ 외 정보수집 및 제공에 관한 사항

⑥ 기타 기관 내 생물안전 확보에 관한 사항

⑦ 고위험병원체 취급 기관의 경우 고위험병원체의 검사 ․ 보존 ․ 관리 및 이동에 관련된 안전관리 심의에 관한 사항

 

==============================

 

6과목 연구실 전기소방 안전관리

 

101.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는 목적으로 옳은 것은?

① 전기기계기구를 보호하기 위해서 설치한다.

❷ 인체의 감전을 예방하기 위해서 설치한다.

전기회로를 분리하기 위해서 설치한다.

④ 스위치 작동을 점검하기 위해서 설치한다.

 

학습가이드에는 없는 내용이라 다른 참조자료 있을것으로 판단. 누전차단기의 목적이 감전예방도 있지만 다른 예시가 틀리다고 하기도 어려워보이는데, 가답안은 2번이 정답인데 확정답안이 어떻게 되었는지는 잘 모르겠음.

 

==============================

 

 

제7과목 연구활동종사자 보건‧위생관리 및 인간공학적 안전관리

121.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에 따른 화학물질 경고표지의 기재항목이 아닌 것은?

① 신호어

② 그림문자

❸ 법적규제 현황

④ 예방조치 문구

 

제공되는 학습가이드에는 명확한 상황이 작성되어 있지는 않지만 관련 자료 법에서 찾음.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시행 2022. 8. 18.]
제170조(경고표시 방법 및 기재항목)
② 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른 경고표지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1. 명칭: 제품명
2. 그림문자: 화학물질의 분류에 따라 유해ㆍ위험의 내용을 나타내는 그림
3. 신호어: 유해ㆍ위험의 심각성 정도에 따라 표시하는 “위험” 또는 “경고” 문구
4. 유해ㆍ위험 문구: 화학물질의 분류에 따라 유해ㆍ위험을 알리는 문구
5. 예방조치 문구: 화학물질에 노출되거나 부적절한 저장ㆍ취급 등으로 발생하는 유해ㆍ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알리는 주요 유의사항
6. 공급자 정보: 물질안전보건자료대상물질의 제조자 또는 공급자의 이름 및 전화번호 등

 

==============================

 

 

 
 
728x90
반응형
Posted by JIN80
,
728x90

2022년도 기사 제2회 필기시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기출문제 풀이
제4과목: 태양광발전 운영

(주의)개인적인 관심사로 저도 나름 풀어보면서 공유하는 내용이라 작성 내용이 절대 정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76. 전기안전관리법령에 따라 개인대행자가 전기안전관리업무를 대행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설비의 규모로 옳은 것은? (, 원격감시 및 제어기능을 갖춘 경우이다.)

용량 250킬로와트 미만

용량 500킬로와트 미만

용량 750킬로와트 미만

용량 1000킬로와트 미만

 

전기안전관리법 시행규칙[시행 2022. 4. 22.]

26(전기안전관리업무의 대행규모) 법 제22조제3항에 따라 안전공사, 같은 항 제2호에 따른 전기안전관리대행사업자(이하 대행사업자라 한다) 및 같은 항 제3호에 따른 자(이하 개인대행자라 한다)가 전기안전관리업무를 대행할 수 있는 전기설비의 규모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다.

  1. 안전공사 및 대행사업자: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기설비(둘 이상의 전기설비 용량의 합계가 4500킬로와트 미만 경우로 한정한다)

     가. 용량 1천킬로와트 미만의 전기수용설비

     나. 용량 300킬로와트 미만의 발전설비. 다만, 비상용 예비발전설비의 경우에는 용량 500킬로와트 미만으로 한다.

     다. 용량 1천킬로와트(원격감시 및 제어기능을 갖춘 경우 용량 3천킬로와트) 미만의 태양광발전설비

  2. 개인대행자: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기설비(둘 이상의 용량의 합계가 1550킬로와트 미만인 전기설비로 한정한다)

     가. 용량 500킬로와트 미만의 전기수용설비

     나. 용량 150킬로와트 미만의 발전설비. 다만, 비상용 예비발전설비의 경우에는 용량 300킬로와트 미만으로 한다.

     다. 용량 250킬로와트(원격감시 및 제어기능을 갖춘 경우 용량 750킬로와트) 미만의 태양광발전설비

 

 

 

77. 인버터의 계통 전압이 규정치 이상일 경우 인버터의 표시내용으로 옳은 것은?

Utility Line Fault

Line Over Voltage Fault

Line Phase Sequence Fault

Inverter Over Curent Fault

 

전압

 

 

 

78. 태양광발전시스템 운영 시 비치서류가 아닌 것은?

건설 관련 도면

송전 관계 알람도

시방서 및 계약서

구조물의 구조계산서

 

태양광발전시스템 운영 시 비치서류

- 건설 관련 도면, 시방서 및 계약서, 구조물의 구조계산서, 운영 매뉴얼 등

 

 

 

79.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모듈 표면의 온도가 높을수록 발전효율이 높으므로 강한 빛을 받도록 한다.

모듈은 고압 분사기를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물을 뿌려 이물질을 제거하여 발전효율을 높인다.

태양광발전설비의 고장요인이 대부분 인버터에서 발생하므로 정기적으로 정상 가동여부를 확인한다.

구조물이나 구조물 접합자재에 부분적인 발청 현상이 있을 경우 녹 방지 페인트, 은분 등으로 도포 처리를 해 준다.

 

 

 

 

80.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다음 안전보건표지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고압전기 경고

레이저광선 경고

방사성물질 경고

폭발성물질 경고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시행 2021. 11. 19.]

[별표 6] 안전보건표지의 종류와 형태

 

728x90
반응형
Posted by JIN80
,
728x90

2022년도 기사 제2회 필기시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기출문제 풀이
제4과목: 태양광발전 운영

(주의)개인적인 관심사로 저도 나름 풀어보면서 공유하는 내용이라 작성 내용이 절대 정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71. 태양광 시스템용 배터리 충전 컨트롤러-성능 및 기능(KS C IEC 62509:2010)에 따라 배터리 수명 보호 요구조건의 권장 충전 단계에서 배터리 충전 컨트롤러는 주기적으로 배터리에 균등 충전을 제공해야 하며, 균등 충전의 주기는 며칠 이상이어야 하는가?

3

5

7

14

 

태양광 시스템용 배터리 충전 컨트롤러-성능 및 기능(KS C IEC 62509:2010)

4.3.3 충전 방식

  4.3.3.2 요구되는 충전 단계

     최소한의 태양광(PV) 배터리 충전 컨트롤러는 벌크와 부동 충전 단계가 있어야 한다.

  4.3.3.3 권장 충전 단계

     4.3.3.2의 요구조건과 함께, 배터리 충전 컨트롤러는 주기적으로 배터리에 균등 충전을 제공해야 한다. 균등 충전의 주기는 7일 이상이어야 한다.

 

 

 

72. 태양광발전소 설비용량이 200kW, SMP90/kWh, 가중치 적용 전 REC120/kWh, 1개월간 생산한 전력량이 10MWh일 때 발전수익은 얼마인가? (, “SMP + 1REC x 가중치계약방식이며, 일반부지에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1740000

2100000

2220000

2415000

 

·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및 연료 혼합의무화제도 관리·운영지침[시행 2022. 1. 7.]

[별표 2] 재생에너지원별 가중치

 

가중치

= {(99.999x1.2) + ((200-99.999) x 1.0)} / 200

= 1.1

발전수익

= (SMP + 1REC가격 x 가중치) x 전력량

= (90 + 120 x 1.1) x 10,000kWh

= 2,220,000

 
 

 

73. 전기설비 검사 및 점검의 방법절차 등에 관한 고시에 따른 사업용 태양광발전설비의 정기점검 시 종합검사의 검사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종합연동시험

조상설비시험

부하운전시험

부지 및 구조물

 

전기설비 검사 및 점검의 방법·절차 등에 관한 고시[시행 2021. 4. 27.]

[별표 9] 사업용전기설비 검사항목

II. 정기검사

II-6 태양광발전설비

 
 

 

74.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물체의 낙하충격, 물체에의 끼임, 감전 또는 정전기의 대전(帶電)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작업 시 착용하는 보호구는?

보안면

발열복

안전화

방진마스크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시행 2021. 11. 19.]

32(보호구의 지급 등)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작업을 하는 근로자에 대해서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그 작업조건에 맞는 보호구를 작업하는 근로자 수 이상으로 지급하고 착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1.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 또는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작업: 안전모

  2. 높이 또는 깊이 2미터 이상의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하는 작업: 안전대(安全帶)

  3. 물체의 낙하ㆍ충격, 물체에의 끼임, 감전 또는 정전기의 대전(帶電)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작업: 안전화

  4. 물체가 흩날릴 위험이 있는 작업: 보안경

  5. 용접 시 불꽃이나 물체가 흩날릴 위험이 있는 작업: 보안면

  6. 감전의 위험이 있는 작업: 절연용 보호구

  7. 고열에 의한 화상 등의 위험이 있는 작업: 방열복

  8. 선창 등에서 분진(粉塵)이 심하게 발생하는 하역작업: 방진마스크

  9. 섭씨 영하 18도 이하인 급냉동어창에서 하는 하역작업: 방한모ㆍ방한복ㆍ방한화ㆍ방한장갑

  10. 물건을 운반하거나 수거ㆍ배달하기 위하여 자동차관리법3조제1항제5호에 따른 이륜자동차(이하 이륜자동차라 한다)를 운행하는 작업: 도로교통법 시행규칙32조제1항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한 승차용 안전모

사업주로부터 제1항에 따른 보호구를 받거나 착용지시를 받은 근로자는 그 보호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75. 전기설비 검사 및 점검의 방법절차 등에 관한 고시에 따라 사업용 태양광발전설비의 정기점검 시 태양광 전지의 수검자 준비자료 중 측정 및 점검기록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절연내력시험 성적서

접지저항시험 성적서

절연저항시험 성적서

보호장치 및 계전기시험 성적서

 

전기설비 검사 및 점검의 방법·절차 등에 관한 고시[시행 2021. 4. 27.]

[별표 9] 사업용전기설비 검사항목

II. 정기검사

II-6 태양광발전설비

 
 
728x90
반응형
Posted by JIN80
,
728x90

2022년도 기사 제2회 필기시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기출문제 풀이
제4과목: 태양광발전 운영

(주의)개인적인 관심사로 저도 나름 풀어보면서 공유하는 내용이라 작성 내용이 절대 정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66. 정전작업 중 조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개폐기의 관리

작업지휘자에 의한 작업지휘

근접 활선에 대한 방호상태 관리

검전기로 개로된 전로의 충전 여부 확인

 

정전작업 전 조치사항

- 전로의 개로개폐기에 시건장치 및 통전금지 표지판 설치

- 전력 케이블, 전력 콘덴서 등의 잔류 전하의 방전

- 검전기로 개로된 전로의 충전 여부 확인

- 단락접지기구로 단락접지

정전작업 중 조치사항

- 작업지휘자에 의한 작업지휘

- 개폐기의 관리

- 단락접지의 수시 확인

- 근접 활선에 대한 방호상태 관리

정전 작업 후 조치사항

- 단락접지기구의 철거

- 시건장치 또는 표지판 철거

- 작업자에 대한 위험이 없는 것을 최종 확인

- 개폐기 투입으로 송전 재개

 

 

 

67. 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BIPV)-성능평가 요구사항(KS C8577:2016)에 따른 역전류 과부하 시험에서 모듈의 과전류 보호 정격의 몇 %를 가하여 역전류가 모듈을 지나 흐르도록 하는가?

90

110

125

135

 

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BIPV)-성능평가 요구사항(KS C8577:2016)

6.21 역전류 과부하 시험

  6.21.1 시험방법

시험 중인 모듈 상판을 아래로 하여 백색 박엽지 한 겹으로 덮은 두께 9mm의 부드러운 송판에 놓고, 모든 차단 다이오드를 단락시키고 직류 전원 공급 장치의 양극 출력을 모듈 양극 단자에 연결하여, 모듈의 과전류 보호 정격의 135%를 가하여 역전류가 모듈을 지나 흐르도록 한다.

 

 

 

68.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배선 케이블의 손상유무를 파악하는 육안점검 사항으로 틀린 것은?

배선의 저항

배선의 늘어짐

배선의 결선상태

배선의 변색 및 변형

 

 

 

69. 중대형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계통연계형, 독립형)(KS C 8565:2021)에 따른 구조 시험의 품질기준은 KS C 8536 규정을 만족하고 출력 전력, 전압, 전류는 실제값과 오차가 몇 % 이내이어야 하는가?

1

2

 3

4

 

중대형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계통연계형, 독립형)(KS C 8565:2021)

8.2 구조 시험

  8.2.2 품질기준

    KS C 8536의 규정을 만족하고 출력 전력, 전압, 전류는 실제값과 오차가 3% 이내일 것

 

 

 

70. 태양광발전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하여 필요한 계측장비로 틀린 것은?

IV checker

열화상 카메라

폐쇄력 측정기

솔라 경로추적기

 

폐쇄력 측정기 : 급기가압제연설비의 부속실 등에 설치된 방화문의 폐쇄력과 개방력을 측정하는 기구

 

 
728x90
반응형
Posted by JIN80
,
728x90

2022년도 기사 제2회 필기시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기출문제 풀이
제4과목: 태양광발전 운영

(주의)개인적인 관심사로 저도 나름 풀어보면서 공유하는 내용이라 작성 내용이 절대 정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61.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작업내용 변경 시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보건교육의 교육시간은 몇 시간 이상인가?

1

2

4

8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시행 2021. 11. 19.]

[별표 4] 안전보건교육 교육과정별 교육시간

 
 

 

62. 태양광발전 접속함(KS C 8567:2019)에 따른 절연 특성 시험 중 내전압 시험방법 시 서로 연결된 주 회로의 모든 극과 접지된 외함(절연성의 경우 외함의 금속박) 사이에 시험 전압 값을 인가한 후 몇 초 동안 유지하여야 하는가?

1

3

5

10

 

태양광발전 접속함(KS C 8567:2019)

8.3.1. 내전압 시험

  8.3.1.1 시험방법

주 회로 및 주 회로에 연결된 보조회로, 제어 회로는 표 4에 따라 전압을 인가하여야 한다.

주 회로에 연결되지 않은 보조 회로와 제어 회로는 교류나 직류에 관계없이 표 5에 따라 시험 전압을 인가하여야 한다.

다음의 회로에 시험 전압 값으로 인가한 후 , 5s 동안 유지한다.

  a)서로 연결된 주 회로의 모든 극과 접지된 외함(절연성의 경우 외함의 금속박) 사이에 인가

  b)주 회로에 연결되지 않는 각 제어 회로 및 보조 회로와 다음 사이에 인가

 

 

 

63. 인버터의 육안점검항목이 아닌 것은?

이상음, 이취, 발연

가대의 부식과 녹슴

외함의 부식 및 파손

외부 배선(접속 케이블) 손상

 

인버터의 일상점검 항목

- 이상음, 이취, 연기나 과열

- 외함의 부식 및 파손

- 외부 배선(접속 케이블) 손상

- 표시부의 이상 표시 확인

 

 

 

64. 절연용 방호구의 선정 및 관리 등에 관한 기술지침에 따라 덮개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덮개의 두께는 일정하고 균일한 품질이어야 한다.

덮개를 설치하였을 때, 충전부는 노출되는 구조이어야 한다.

2개 이상의 덮개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 연결과 분리가 간편하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해야 한다.

덮개를 선로 등에 설치하였을 때, 회전되거나 탈락되지 않아야 하고 연결부가 분리되지 않은 구조이어야 한다.

 

절연용 방호구의 선정 및 관리 등에 관한 기술지침[2020.12]

5.2 덮개의 구조 및 재료

  5.2.1 구조

    (1) 덮개는 형상이 바르고 내·외 표면은 흠, 균열 등의 결함이 없어야 한다.

    (2) 덮개의 두께는 일정하고 균일한 품질이어야 한다.

    (3) 덮개를 선로 등에 설치하였을 때, 회전되거나 탈락되지 않아야 하고 연결부가 분리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4) 2개 이상의 덮개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 연결과 분리가 간편하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해야 한다.

    (5) 덮개를 설치하였을 때,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65.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계측 및 표시에 필요한 기기로 틀린 것은?

교류회로 전압 측정을 위한 분류기

계측 데이터를 복사, 보존하기 위한 기억장치

검출된 전압, 전류 전력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신호변환기

일시 계측 데이터를 적산하여 평균값 및 적산 값을 얻기 위한 연산장치

 

태양광발전시스템 계측시스템 구성요소

- 검출기(센서): 전압, 전류, 주파수 일사량, 기온, 풍속 등의 전기 신호를 검출

- 신호변환기(트랜스 듀서): 센서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전송

- 연산장치: 계측데이터를 적산하여 일정기간마다의 평균값 또는 적산값을 연산

- 기억장치: 데이터를 복사하여 저장

- 표시장치: 순시발전량이나 누적발전량, 석유 절감량, CO2 삭감량을 표시

 
 
728x90
반응형
Posted by JIN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