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의)저도 나름 풀어보면서 공유하는 내용이라 작성 내용이 절대 정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2022년도 기사 제1회 필기시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기출문제 풀이
제4과목: 태양광발전 운영

 


61.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청소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절연물은 충전부 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청소한다.

, 커버 등을 열기 전에는 주변의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한다.

청소걸레는 마른걸레를 사용하되 젖은 걸레를 사용하는 경우 산성인 것을 사용한다.

컴프레셔를 이용하여 공압을 사용하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흡입방식을 사용하고, 토출방식은 공기의 압력에 유의한다.

태양광 패널을 세척 할 때는 중성 또는 약 알랄리성 세제를 희석하여 사용

 

62. 점검계획 시 고려사항 중 다음의 내용에 해당하는 사항으로 옳은 것은?

일반적으로 신설 설비보다 오래된 설비가 고장 발생 확률이 높기 때문에 점검 내용을 세분화하고 주기를 단축해야한다.

고장이력

부하상태

설비의 중요도

설비의 사용기간

○ 설비의 사용기간
일반적으로 신설설비보다 오래된 설비가 고장 발생의 확률이 높기 때문에 점검 내용을 세분화하고 주기를 단축해야 한다
.

설비의 중요도

설비에는 중요 설비와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설비가 있다. 예를 들면, 송전용 변압기에 고장이 발생하면 발전 전원의 송전이 중단되지만, 모듈이 불량인 경우에는 해당 부분만 발전을 하지 못하게 된다. , 설비의 중요도에 따라 점검내용과 주기를 검토해야 한다.

환경조건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곳의 환경 및 옥내/옥외 여부, 분진지역 및 염해지역 여부, 환기의 양부, 습기의 다소, 특수가스 유무, 진동 유무 등에 의하여 절연물의 열화, 금속의 부식, 과열, 수명단축 등의 영향을 받으므로 환경조건에 따른 점검내용과 주기를 검토해야 한다.

고장이력

환경조건의 불량에 의하여 고장을 많이 일으키는 설비가 있는데, 이와 같은 설비는 재발방지를 위하여 점검을 강화해야 한다.

부하상태

사용빈도가 높은 설비, 부하의 증가, 환경조건의 악화 등으로 과부하 상태로 된 설비 등은 점검의 주기를 단축해야 하며, 과부하 설비 및 선로가 없도록 해야 한다.

 

*자료: 환경기초시설 탄소중립 프로그램 설계설치 가이드라인(2018, 환경부)

 

63.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절연저항 측정 시 필요한 시험 기자재가 아닌 것은?

온도계

습도계

절연저항계

접지저항계

절연저항은 온도와 습도의 영향을 받음 - 온도습도가 높아지면 절연저항은 감소

 

64. 제어회로 배선의 육안점검 내용으로 틀린 것은?

SA의 손상여부 확인

전선 지지물의 탈락여부 확인

과열에 의한 이상한 냄새 여부 확인

가동부 등의 연결전선의 절연피복 손상여부 확인

서지흡수기(SA : Surge Absorber)는 제어회로 배선이라 하기 어려움.

 

65. 소형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계통연계형, 독립형)(KS C 8564:2021)에 따른 교류 전압, 주파수 추종 범위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출력 역률이 0.98 이상일 것

출력 전류의 종합 왜형률은 3% 이내일 것

출력 전류의 각 차수별 왜형률은 3%이내일 것

정격 주파수 60Hz에서 천천히 변화시켜, 59Hz61Hz에서 교류 출력 전력, 전류 왜형률, 역률 등을 측정한다.

KS C 8564:2021 소형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계통연계형, 독립형)

8.5.1 교류 전압, 주파수 추종 범위 시험

8.5.1.1 시험방법

교류 전원을 정격 전압 및 정격 수파수로 운전한다. 직류 전원은 인버터 출력이 정격 출력이 되도록 설정한다.

a)계통 전압의 크기를 공칭 전압에서 천천히 변화시켜, 공칭 전압의 +8%10%의 전압에서 교류 출력 전류의 왜형률, 역률 등을 측정한다.

b)정격 주파수 60Hz에서 천천히 변화시켜, 60.45Hz59.35Hz에서 교류 출력 전력, 전류 왜형률, 역률 등을 측정한다.

8.5.1.2 품질기준

a)기준 범위 내의 계통 전압 변화에 추종하여 안정하게 운전할 것.

b)출력 전류의 종합 왜형률은 5% 이내, 각 차수별 왜형률은 3% 이내일 것.

c)출력 역률이 0.95 이상일 것.

 
 
728x90
반응형
Posted by JIN80
,
728x90

(주의)저도 나름 풀어보면서 공유하는 내용이라 작성 내용이 절대 정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2022년도 기사 제1회 필기시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기출문제 풀이
제3과목: 태양광발전 시공

 


56. 신전원설비공사(KCS 31 60 30 : 2019)에 따라 설치하는 태양광발전용 파워컨디셔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상세사항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태양전지출력의 감시 등에 의해 자동운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운전계측이상상태 및 시스템 설정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있어야 한다.

인버터의 입력전압 범위를 넓게 하여 정상 운전 중 구름 및 기타 장애물에 의해 순간적인 그늘이 발생 시 인버터가 정지되어야 한다.

KCS 31 60 30 : 2019 신전원설비공사

2.1 태양광발전설비

  (3) 파워컨디셔너

파워컨디셔너는 필터 및 인버터 등의 요소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하여야 한다.

인버터의 입력전압 범위를 넓게 하여 정상 운전 중 구름 및 기타 장애물에 의해 순간적인 그늘이 발생 시에도 인버터가 정지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태양전지출력의 감시 등에 의해 자동운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운전·계측·이상상태 및 시스템 설정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있어야 한다.

파워컨디셔너의 상세사항은 설계도 및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57. 전기사업법령에 따른 사용전검사 신청서의 처리절차로 옳은 것은?

신청서 작성 접수 검사 검토 결정 검사결과 통보

신청서 작성 접수 검토 검사 결정 검사결과 통보

신청서 작성 검사 접수 검토 결정 검사결과 통보

신청서 작성 검사 검토 접수 결정 검사결과 통보

전기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지 제7호서식] 사용전점검 신청서

 

 

58.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라 태양광발전 모듈에 접속하는 부하측의 전로를 옥내로 시설할 경우 적용할 수 있는 금속관 공사에서 금속관을 콘크리트에 매설할 때 사용하는 관의 최소 두께(mm)?

1.0 mm

1.2 mm

1.5 mm

2.0 mm

저압 옥내배선공사의 금속관 공사 시 콘크리트에 매입하는 것은 1.2 이상

 

 

59. 직류 송전방식과 비교했을 때 교류 송전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안정도가 좋다.

회전자계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전압의 승압, 강압이 용이하다.

교류방식으로 일관된 운용을 기할 수 있다.

교류송전 장범

- 회전자계 획득 용이

- 변압기로 승압 및 강압이 용이

- 대부분의 부하가 교류 방식이므로 운용의 일관성

 

직류송전 장점

- 송전효율이 좋다

- 절연레벨 경감

- 안정도가 좋다

- 단락전류가 적어 주파수 교류계통간의 연결이 가능

- 유도 장해가 작다

 
 

 

60. 계기용 변성기(표준용 및 일반 계기용)(KS C 1706:2019)에 따라 배전반용으로 사용되는 계기용 변성기의 계급으로 옳은 것은?

0.1

0.2

0.5

3.0

계기용 변성기(표준용 및 일반 계기용)(KS C 1706:2019)

5. 종류

5.1 계급

 
728x90
반응형
Posted by JIN80
,
728x90

(주의)저도 나름 풀어보면서 공유하는 내용이라 작성 내용이 절대 정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2022년도 기사 제1회 필기시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기출문제 풀이
제3과목: 태양광발전 시공

 


 

51. PN 접합 다이오드에 순방향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할 때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커패시턴스가 커진다.

내부전계가 강해진다.

전위장벽이 높아진다.

공간전하 영역의 폭이 넓어진다.

p-n 접합 (정방향 바이어스).

순방향 바이어스는 다음 그림과 같이 P형 부분에 (+) 전압을, N형 부분에 (-) 전압을 걸어주는 경우이다. 이렇게 하면 P 영역에 있는 정공과, N 영역에 있는 전자가 접합면 쪽으로 끌려온다(P 영역에 걸린 양전하가 정공을 밀어내고, N 영역에 걸린 음전하가 전자를 밀어낸다). 따라서 당연히 공핍(depletion)영역의 폭이 줄어들게 된다. 이렇게 되면 P-N 접합면의 전위 장벽(potential barrier)가 줄어들고, 전기저항이 낮은 값이 된다.

 

*출처: 위키백과

 


 

52. 진공차단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높은 압력의 공기가 발생하므로 소음이 크다.

전류 재단현상이 발생하므로 개폐서지가 크다.

접점의 소모가 적으므로 차단기의 수명이 길다.

소형 경량으로 실내 큐비클에 설치가 가능하다.

진공차단기

(장점) 안전하고 저소음, 차단성능 우수, 고속 동작, 긴 수명, 소형, 경량

(단점) 개폐서지 발생, 진공도의 열화판정 곤란

 
 

53. 전압계가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하는 특성은?

낮은 감도

높은 내부저항

높은 인덕턴스

높은 캐패시턴스

이상적인 전압계

측정부위에 영향을 주지 않기위해 내부 임피던스가 높아야 함.

전류계는 내부 임피던스가 낮아야 함.

 
 

 


 

54.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라 피뢰시스템은 전기전자설비가 설치된 건축물구조물로서 낙뢰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것 또는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몇 m 이상인 것에 적용하여야 하는가?

10 m

15 m

20 m

25 m

2020 한국전기설비규정(KEC)

151 피뢰시스템의 적용범위 및 구성

151.1 적용범위

다음에 시설되는 피뢰시스템에 적용한다.

1. 전기전자설비가 설치된 건축물·구조물로서 낙뢰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것 또는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20 m 이상인 것

2. 전기설비 및 전자설비 중 낙뢰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설비

 
 

55. 내부저항이 1.0Ω1.5V 전지 두 개를 병렬로 연결한 후 외부에 2.5Ω의 저항을 가지는 부하를 직렬로 연결하였다. 외부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A)?

0.5

0.6

1.0

1.2

병렬연결 시 저항

= 외부저항(R) + 전지내부저항(r)/병렬수(n)

= 2.5Ω + ( 1.0Ω / 2)

= 3Ω

회로전류(I)

= 1.5V / 3Ω

= 0.5A

 
 

 

728x90
반응형
Posted by JIN80
,
728x90

(주의)저도 나름 풀어보면서 공유하는 내용이라 작성 내용이 절대 정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2022년도 기사 제1회 필기시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기출문제 풀이
제3과목: 태양광발전 시공

 


46. 가공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선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가공이 쉬울 것

비중이 높을 것

도전율이 클 것

기계적 강도가 클 것

송배전선로 전선의 구비조건

- 가공이 쉬울 것

- 비중이 작을 것

- 도전율이 클 것

- 기계적 강도가 클 것

- 경제적일 것

- 부식성이 작을 것

- 전압강하가 적을 것

 
 

 

47.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라 접지극은 동결 깊이를 감안하여 시설하되 고압 이상의 전기설비와 변압기 중성점 접지에 의하여 시설하는 접지극의 매설깊이는 지표면으로부터 지하 몇 m 이상으로 하는가?

0.75 m

1 m

1.2 m

2 m

2020 한국전기설비규정(KEC)

142.2 접지극의 시설 및 접지저항

3. 접지극의 매설은 다음에 의한다.

. 접지극은 매설하는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아야 하며, 가능한 다습한 부분에 설치한다.

. 접지극은 동결 깊이를 감안하여 시설하되 고압 이상의 전기설비와 142.5에 의하여 시설하는 접지극의 매설깊이는 지표면으로부터 지하 0.75 m 이상으로 한다. 다만,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접지극을 322.51에 준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접지도체를 철주 기타의 금속체를 따라서 시설하는 경우에는 접지극을 철주의 밑면으로부터 0.3 m 이상의 깊이에 매설하는 경우 이외에는 접지극을 지중에서 그 금속체로부터 1 m 이상 떼어 매설하여야 한다.

 
 
 

 

48. 지진구역 I 에서 태양광발전설비 기초구조물 시공에 적용되는 평균재현주기 500년의 지진지반운동에 해당하는 지진구역계수로 옳은 것은?

0.07

0.09

0.11

0.13

지진구역계수 : 재현주기 500년의 지진위험도

지진구역2(강원북부, 제주) 지진구역계수 0.07

지진구역1(나머지) 지진구역계수 0.11

 
 

 

49. 브릿지(bridge) 정류회로에서 필요한 정류용 다이오드의 수는?

1

2

3

4

브릿지 정류회로

 

 

50.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라 수평 트레이에 다심케이블을 포설 시 벽면과의 간격은 몇 mm 이상 이격하여 설치하여야 하는가?

5

10

20

50

2020 한국전기설비규정(KEC)

232.41 케이블트레이공사

  232.41.1 시설 조건

    6. 수평 트레이에 다심케이블을 포설 시 다음에 적합하여야 한다.

      가. 사다리형, 바닥밀폐형, 펀칭형, 메시형 케이블트레이 내에 다심케이블을 포설하는 경우 이들 케이블의 지름(케이블의 완성품의 바깥지름을 말한다. 이하 같다)의 합계는 트레이의 내측폭 이하로 하고 단층으로 시설할 것.

      나. 벽면과의 간격은 20 이상 이격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다. 트레이 설치 및 케이블 허용전류의 저감계수는 KS C IEC 60364-5-52(전기기기의 선정 및 설치-배선설비) B.52.20을 적용한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JIN80
,
728x90

(주의)저도 나름 풀어보면서 공유하는 내용이라 작성 내용이 절대 정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2022년도 기사 제1회 필기시험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기출문제 풀이
제3과목:태양광발전 시공

 


 

41. 태양광발전 구조물 기초터파기용 굴삭기계의 경비 중 손료에 해당하지 않는 항목은?

정비비

수송비

관리비

감가상각비

기계경비 = 기계손료 + 운전경비 + 수송비 + (분해조립 비용)

- 기계손료 : 상각비 + 정비비 + 관리비

- 운전경비 : 주연료, 잡재료 및 운전원 등

- 수송비

 
 

 

42. 총 설비용량 80 kW, 수용률 75%, 부하율 80%인 수용가의 평균전력은 몇 kW인가?

30

36

42

48

평균전력

= 부하율 x 최대수용전력

= 부하율 x (수용율 x 설비용량)

= 0.80 x 0.75 x 80kW

= 48kW

 
 

 

43. 연동연선의 단면적이 150이고, 소선의 지름이 2.3이며, 4층 구조라고 할 때 소선의 가닥수는?

19

37

61

91

 연선의 소선 총 가닥수(N)

= 1 + 3n(n+1)

= 1 + 3*4(4+1)

= 61

*n: 중심소선을 뺀 소선의 층수

 

연선의 소선 총 가닥수(N)

= 0(중심선) + 1(6가닥) + 2(12가닥) + 3(18가닥) + 4(24가닥)

= 61

 

*주어진 조건을 모두 활용하지 않아 풀이방식이 맞는지 확신이 없음.

 

 

44. 수변전설비공사(KCS 31 60 10 : 2019)에 따라 옥내 시공 시 시공조건에 대한 확인으로 틀린 것은?

기기 주위에는 유지관리 공간을 확인하여야 한다.

기기의 중량을 산정하여 바닥강도를 확인하여야 한다.

전기실에는 물 배관증기관덕트(환기용 제외) 등을 시설하거나 통과시켜서는 안된다.

습기 또는 결로 등에 의한 절연상승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공법으로 하여야 한다.

KCS 31 60 10 : 2019 수변전설비공사

3. 시공

  3.1 시공조건 확인

    3.1.1 옥내 시공

(1) 기기 주위에는 유지관리 공간을 확인하여야 한다.

(2) 기기의 중량을 산정하여 바닥강도를 확인하여야 한다.

(3) 변압기의 발열 등으로 실온이 상승될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환기구 또는 환기팬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4) 습기 또는 결로 등에 의한 절연저하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공법으로 하여야 한다.

(5) 전기실에는 물 배관·증기관·덕트(환기용 제외) 등을 시설하거나 통과시켜서는 안된다.

(6) 옥내 시공의 상세사항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45. 볼트 접합 및 핀 연결(KCS 14 31 25 : 2019)에 따른 볼트조임에 관한 일반사항으로 틀린 것은?

와셔는 볼트머리와 너트에 평행하게 놓아야 한다.

볼트의 끼움에서 본조임까지의 작업은 같은날 이루어지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모든 볼트머리와 너트 밑에 각각 와셔 1개씩 끼우고, 볼트를 회전시켜서 조인다.

볼트의 조임 작업 시 본조임은 원칙적으로 강우 및 결로 등 습한 상태에서 조임해서는 안 된다.

KCS 14 31 25 : 2019 볼트 접합 및 핀 연결

3. 시공

  3.1 마찰접합

    3.1.5 볼트조임

      (1) 볼트조임에 관한 일반사항

조임 시공법의 확인 - 볼트의 조임 시공법 확인은 공사용으로 반입 검사한 볼트 중에서 임의로 취하여 실제작업에 사용하는 조임기기를 이용하여 이 시방서에 규정에 따라 조여서 축력계로 도입장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한다. 이때 검사에 이용되는 조임기기와 축력계는 소정의 성능을 갖추고 충분히 정비되어야 한다.

볼트는 나사를 손상시키지 않고 정확하게 구멍 속에 끼워 넣어야 하며, 볼트 끼우기 중 나사부분과 볼트머리는 손상되지 않게 보호한다.

모든 볼트머리와 너트 밑에 각각 와셔 1개씩 끼우고, 너트를 회전시켜서 조인다. 다만 토크-전단형(T/S) 고장력볼트는 너트 측에만 1개의 와셔를 사용한다.

와셔는 볼트머리와 너트에 평행하게 놓아야 한다. 볼트가 볼트축에 직각인 평면과 1/20보다 큰 경사를 갖는 경사면이나 원형면 위에 사용될 경우에는 볼트머리나 너트가 완전히 지지되도록 경사진 와셔나 원형 와셔를 갖추어야 한다.

세트를 구성하는 와셔 및 너트에는 바깥쪽과 안쪽이 있으므로 볼트접합부에 사용할 때에는 그림 3.1-1과 같이 너트의 표시 기호가 있는 쪽이 바깥쪽이고, 와셔는 면치기가 있는 쪽이 바깥쪽이므로 반대로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그림  3.1-1  너트 ,  와셔의 속과 겉

볼트의 조임 및 검사에 사용되는 기기 중 토크렌치와 축력계의 정밀도는 ±3% 오차범위 이내가 되도록 충분히 정비된 것을 이용한다.

볼트의 끼움에서 본조임까지의 작업은 같은 날 이루어지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볼트의 조임 작업 시 본조임은 원칙적으로 강우 및 결로 등 습한 상태에서 조임해서는 안 된다.

품질관리 구분 의 교량에서 토크를 줄이기 위해서 표면처리를 실시한 와셔를 사용할 경우에는 너트 측에만 사용하고, 볼트머리측에는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것을 사용한다.

품질관리 구분 의 교량에서 용접과 고장력볼트의 마찰이음을 병용할 때에는, 용접완료 후에 볼트의 조임시공을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볼트를 조인 후에 용접할 때에는 구속에 의한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JIN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