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 나고 살고 있는 중년 남성입니다. 뒤늦게 낚시라는 취미를 갖게되어 배우면서 제주바다에서 생활낚시를 즐기고 있습니다. 복잡한 채비를 싫어해서 루어낚시를 주로하고 가끔 원투낚시를 합니다. 주력 장비는 "① E-Power 702ML(4~20g) + SHIMANO SIENNA C3000" 조합과 "② ABUGARCIA ACMISSS-865ML(8~34g) + ABUGARCIA SALTY FIGHTER SP3000" 조합과 "③ 백조간 602UL + NoBrand" 조합입니다. 제주시 인근 바닷가를 주요활동지로 락피시, 농어, 회유성 어종을 대상어로 합니다. 퇴근 후, 주말 낚시 생활을 한달에 한번씩 기록하고 있습니다.
평소 자주 다니는 제주항에 오징어가 들어온것을 목격했다.
하지만 에기를 아무리 던져도 입질이 없다. 애초에 에깅을 잘 하지 않기에 오랜시간 해본건 아니지만, 오징어를 언제면 많이 낚아보나 싶다. 이젠 에깅이 국민 장르가 된듯하다. 어딜가나 에깅꾼들이 상당히 많다.
캡라이트를 잃어버려서 다시 구입했다.
지난번꺼도 괜찮았지만 다른걸 써보고 싶어서 센서가 들어간 캡라이트를 구입해봤다. 그런데 센서는 좋은데 광이 약해서 조금은 후회 중이다. 캡라이트, 다운샷 봉돌(11g), 와이드훅(1호), 어시스트훅(12호), 베이비사딘(2인치), 트레블훅
이번달에 개인적인 일정이 많아서 자주 낚시를 하지는 못했지만,
가끔 낮시간에 나갈 기회가 생겨서 낮에는 메탈을 좀 던져봤다. 큰 씨알은 아니더라도 회유어종이 좀 물어주길 바랬는데, 달고기만 올라온다. 달고기도 사이즈가 좀 되서 나쁘지는 않았지만 기대했던 강한 손맛은 아니라서 실망감이 좀 있었다.
볼락도 이젠 제법 씨알 큰것들이 올라오긴 한데, 쏨뱅이는 오히려 작아진 느낌이다.
메탈을 던지다보니 인쇼어대로 던지다보니 제대로 루어를 운용하지 못했을수도 있지만 올라오는 애들이 많지는 않았다.
제주에서 나고 살고 있는 중년 남성입니다. 뒤늦게 낚시라는 취미를 갖게되어 배우면서 제주바다에서 생활낚시를 즐기고 있습니다. 복잡한 채비를 싫어해서 루어낚시를 주로하고 가끔 원투낚시를 합니다. 주력 장비는 "① E-Power 702ML(4~20g) + SHIMANO SIENNA C3000" 조합과 "② ABUGARCIA ACMISSS-865ML(8~34g) + ABUGARCIA SALTY FIGHTER SP3000" 조합과 "③ 백조간 602UL + NoBrand" 조합입니다. 제주시 인근 바닷가를 주요활동지로 락피시, 농어, 회유성 어종을 대상어로 합니다. 퇴근 후, 주말 낚시 생활을 한달에 한번씩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번 3월은 날씨도 안좋고 해서 낚시를 잘 나가보지 못한것 같다.
다음달을 준비한다는 개념으로 이것저것 정비만 좀 했던것 같다.
아부가르시아 모바일대가 중간 가이드가 부러져서 - 지난번에 보증카드를 써버려서 - 2번피스를 추가 구입했다. 배송비 포함 2만5천원 정도 투입된것 같다.
솔티파이터 릴에서 소음이 좀 심해서 동료에게 물어보고 살펴보니 라인롤러가 돌지 않는걸 발견했다. 요건 보증카드 있어서 보증카드 사용해서 수리 요청했는데, 보증카드 미상으로 무상수리 해주셨다. 퓨어피싱코리아의 AS정책을 잘 모르겠지만 마음에 드는 정책이다. 그래서 그런지 새로운 로드 볼때도 아부가르시아 위주로 살펴봐지는것 같다.
이번달은 출조도 별로 안나가고 조과도 그다지 좋지가 않았다. 수온도 많이 차고 바람도 거샛던 한달인것 같다. 그나마 늘 올라오는 자리에서 쏨뱅이만 올라온것 같다. 사이즈가 좀 커지긴 한것같지만 여러마리를 잡지는 못한것 같다. 그래도 첫 어종 낙지를 잡아봤다. 낚시로 잡았다기엔 민망하지만 지나가는 애를 그냥 잡아올렸다.
제주에서 나고 살고 있는 중년 남성입니다. 뒤늦게 낚시라는 취미를 갖게되어 배우면서 제주바다에서 생활낚시를 즐기고 있습니다. 복잡한 채비를 싫어해서 루어낚시를 주로하고 가끔 원투낚시를 합니다. 주력 장비는 "① E-Power 702ML(4~20g) + SHIMANO SIENNA C3000" 조합과 "② ABUGARCIA ACMISSS-865ML(8~34g) + ABUGARCIA SALTY FIGHTER SP3000" 조합과 "③ 백조간 602UL + NoBrand" 조합입니다. 제주시 인근 바닷가를 주요활동지로 락피시, 농어, 회유성 어종을 대상어로 합니다. 퇴근 후, 주말 낚시 생활을 한달에 한번씩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번달에도 어김없이 쇼핑을 해버렸다. 이제 좀 쇼핑 자제를 해야하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매달 10만원씩 투자하는것 같다. 이럴꺼면 모아서 비싼 로드를 사는게 나을것 같다는 생각이든다. 쇼핑은 일단 볼락에 포커스를 맞추되 다 떨어져가는 메탈지깅 소품류도 좀 구입해봤다. 거기다가 오랜만에 원투낚시를 해보고 싶어서 간단한 묶음채비와 건조지렁이도 구입했다. 원투낚시를 할때면 간혹 구입하는 낚시방 지렁이를 남기는일이 많아서 건조 지렁이로 조금씩 사용해보는것을 시도해보려고 한다. 다운샷 봉돌(26g), 스프링줄, 야광 지그헤드(10g), 소품케이스, 크롬 메탈지그(20g), 로드벨트, 메탈지그(20G), 베이비사딘(1.5인치), 스트레이트훅, 염장 건조 지렁이, 막대추(20호), 메탈지그(10g, 21g), 라인커터, 지렁이 꽂이, 전자 케미, 낚시대 거치대
지난달과 마찬가지로 볼락을 목표로 했지만, 쏨뱅이가 주를 이룬다. 지난달 보다 오히려 볼락 씨알이 작아진것 같이 느껴진다. 아직은 날이 좀 덜풀렸나 싶다. 쏨뱅이와 함께 고등어도 자주올라온다. 어떤날은 메탈을 해보자는 생각으로 던져본적도 있는데, 역시나 잔씨알의 고등어가 올라오긴한다.
쏨뱅이들도 슬슬 알배기들이 올라오기 시작한다. 몸이 무거워서인지 손맛은 좋았다. 알배기가 올라오면 얼른 사진만 찍고 놔주기를 반복했다.
정체모를 녀석들도 올라온다. 본래 올라오는 녀석들인지 지구 온난화로 우리 수역으로 들어온 녀석들인지 잘 모르겠다. 쏨뱅이류도 색깔이 참 다양한것 같다.
제주에서 나고 살고 있는 중년 남성입니다. 뒤늦게 낚시라는 취미를 갖게되어 배우면서 제주바다에서 생활낚시를 즐기고 있습니다. 복잡한 채비를 싫어해서 루어낚시를 주로하고 가끔 원투낚시를 합니다. 주력 장비는 "① E-Power 702ML(4~20g) + SHIMANO SIENNA C3000" 조합과 "② ABUGARCIA ACMISSS-865ML(8~34g) + ABUGARCIA SALTY FIGHTER SP3000" 조합과 "③ 백조간 602UL + NoBrand" 조합입니다. 제주시 인근 바닷가를 주요활동지로 락피시, 농어, 회유성 어종을 대상어로 합니다. 퇴근 후, 주말 낚시 생활을 한달에 한번씩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번 달에도 어김없이 낚시 쇼핑이 이루어졌다.
볼락에 타겟을 맞춰 베이비사딘을 사용하지 말아보겠다는 다짐을 뒤로하고 병타입 베이비사딘 2통을 주문했다. 병에서 사딘을 꺼내기도 어렵고 다른 웜들도 사딘용액에 넣고 싶어서 리퀴드팩도 하나 구입했다. 그리고 밑걸림 손실로 수량이 다 되어가는 지그헤드도 좀 사고 작은 사이즈 웜이 없어서 웜도 좀 구입했다. 태클박스는 언제나 고민인 사항인것 같다. 어떻게해야 효율적인지에 대한 고민이 항상있어서 태클박스 구입이 너무 잦은것 같다는 생각도 해본다. 프리리그로 몇번 성공하고 나서 프리리그나 텍사스리그용 채비도 좀 구입해봤다. 바람부는날이 많아서 캐스팅볼도 좀 무거운녀석으로 구입해봤다. 베이비사딘(2인치), 리퀴드팩(VS-L425), 지그헤드(1.5g), 지그헤드(1/8oz), 그럽웜(2인치), 태클박스 와이드훅(2호), 총알싱커(//5), 글라스 비드(10), 3컷 낚시장갑, 지그헤드(1/4oz,1/8oz), 캐스팅볼(8.0, 6.7), 핀도래(12호), 다운샷 봉돌(11g)
미노우나 메탈을하다가 다시 지그헤드를 사용하려니 잦은 손실에 채비를 자주하게된다.
그럴때마다 큰 사이즈의 태클박스를 꺼내는것이 귀찮아서 다이소에서 조그마한 약통(8분할 섹션케이스, 1천원)을 구입해서 써보고있는데 상당히 괜찮다. 2개를 사서 채비 충전용으로 번갈아 사용중이다. 지그헤드 사이즈 표시가 구지 필요하진 않지만 새겨진 글씨를 가리느라 라벨프린터로 한번 해봤다.
지난달과 마찬가지로 쏨뱅이가 계속해서 올라온다.
20cm이상의 재법 사이즈 되는 녀석들이 올라오기 시작하는것 같다. 볼락을 위해서 쏨뱅이가 올라오면 채비를 변경하고 하면서 노려봤지만 볼락이 잘 붙지는 않는다. 그래도 확실히 초보일때보다 시기가 지날수록 대상어의 사이즈가 커져가는것 같다. 똑같은 패턴인것 같은데 왜 사이즈가 변한건지는... 내가 못느끼는것일수도 있겠다.
그래도 볼락이 전혀 안올라오는건 아니다.
크기가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쏨뱅이 사이에서 간혹 볼락이 올라와준다. 아무래도 사딘을써야 볼락이 올라온다. 3월까지는 계속 기대하며 노려봐야겠다. 볼락을 노리다가 오랜만에 광어까지 올라왔다. 초저녁 모래가 있는 바닥지형이라서 광어가 올라온것 같다.
어떤날은 전갱이와 고등어가 엄청났다.
시즌이 된건지 어쩌다 내항으로 들어온건지 잘 모르겠지만, 사이즈가 커져가는 전갱이와 고등어가 많이 나온다. 볼락을 위해 바닥으로 채비를 내리지 못하고, 중간에 고등어가 채가는 경우도 많았다. 일부러 지그헤드를 빨리 떨어뜨리곤 해봤지만 이놈들이 있는 날은 볼락도 잘 있지가 않았다.